에이블세븐 개발/운영사

주식회사 데프워크

수어학원에 휠체어 장애인이 많은 이유

수어통역 인공지능을 개발하면서 수어학원을 다닌 적이 있습니다.


당연히 입문반부터 다녔는데 중급반, 고급반, 자격증반까지 모든 클래스에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있는 걸 봤습니다.


그때는 그저 '아, 그렇구나'하고 지나쳤습니다.


어느 날 우연히, 발표 자료를 준비하던 중

기업들이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고 한 해 8,500억씩

돈으로 내고 있다는 데이터를 봤습니다.


그 순간 수어 학원에서 장애인을 봤던 기억이 떠올라

학원에 전화해서 장애인들이 실제로 취직하는지 물어봤습니다.


그런 일은 없다고 했습니다.


수어통역처럼 타인을 돕는 기술을 배우고 직업으로 삼아 살아가고 싶은

수 많은 장애인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제도와 환경의 문제로 단기적인 최저임금 일자리를 전전하거나

일자리 없는 상태로 복지제도 안에 머물러 있습니다.


“기업은 비용을 줄이고 장애인에게는 일자리를 만드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막연하게 짐작으로 시작한 일이 이제 실행계획으로 정리됐습니다.


기업이 장애인을 고용하는 대신 돈을 내는 것은 그 방법이 이익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장애인을 고용하는 것이 더 이익이 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수상이력

2024 경기도 사회적경제 성장패키지 선정 (2024.05~2024.12)
2024 경기도 사회적경제 성장패키지 선정 (2024.05~2024.12)
2024 경기도 임팩트 정책 오디션, 우수정책상
2024 경기도 임팩트 정책 오디션, 우수정책상
2024 경기도 샛별 사회가치투자대회 TOP10 (2024.10.31)
2024 경기도 샛별 사회가치투자대회 TOP10 (2024.10.31)
2024 광명시 스타트업 페스티벌 최우수상 (2024.11.20)
2024 광명시 스타트업 페스티벌 최우수상 (2024.11.20)

이해관계자

장애인


  • 세계 인구의 15%, 약 10억명(세계장애보고서 2011)
  • 국내 인구의 5.1% 264만명(2023 보건복지부)

지체장애인


  • 전체 장애인 중 50%, 국내 기준 약 120만명
  • 지체장애인 중 16~17%가 휠체어 이용(약 21만명)

청각장애인

448,573명(언어장애 포함, 2022년 12월 말 보건복지부)


  • 법률로 보장된 청각장애인의 수어통역 권리가 주주가치 확대로 이어지는 자기보상 효과
  • 공공기관 · 기업 대상 수어통역 서비스 영업기회 확대, 마케팅 파워 강화

시각장애인

250,767명(2022년 12월 말 보건복지부)


  • 장기적으로 2번째 규모의 러브핸즈 사용자 그룹
  • 시각장애인 활동지원 바우처 소비가 주주가치 확대로 이어지는 자기보상 효과

지체장애인

1,176,291명(2022년 12월 보건복지부)


  • 신규 수어통역사와 시각장애인 상황해설 인력풀
  • 재무적 이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로서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 주주 참여

수어통역사


  • 본사 소속 수어통역사의 우리사주 보유 효과
  • 수어통역 시장 활성화가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주주가치 확대로 이어지는 자기보상 효과

기업


  • 참여 규모에 따른 수어통역 서비스 리워드
  •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사회적 투자

비장애인


  • 장애인의 가족, 친척, 친구, 동료 등
  • 수어통역 서비스의 질적·양적 개선, 시장 활성화를 기대하는 모든 개인